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펌) 예금금리와 주책담보대출 관계

기준금이 1퍼 오르면 주담대 금리 3~4퍼 오른다고 폭락이들 때문에 피곤하구나..

이글은 주담대 금리 인상의 공포를 조장하는 폭락충들을 대상으로 한 글이니 반말로 작성함.

주담대 금리가 어케 구성되는지 아는 분들이나 주담대 금리가 10퍼나 갈일이 없다는걸 상식으로 아는 분들은 패스해도 됩니다~

우선 주담대 금리 10퍼 공포 주장하는 충들은 코픽스가 뭔지 찾아보고 주담대 금리에 대해 떠들었으면 좋겠다..

기준금리 인상은 당연한 팩트인데(인정함.미국이 올리는데 당연하지.)

거기에 주담대금리 폭등이라는 거짓을 가미해서 집 사려는 기특한 생각조차 막아버리는 거짓 선동자들... 벌받을지니..

오르고 내리고 시장의 뜻이니 여기 폭등 폭락 떠들어대는 벌레들 말만 듣지말고 본인이 팩트위주로 알아보고 결정하는게 정답이지..

찾아보니기 귀찮을테니 주담대 금리 7~10퍼 간다는 개솔 주절대는 새끼들 이거 잘 읽어보고 최소한 사고라는것을 해보길 바람.


1. 일단 금리를 조절하는것은 인플레와 디플레를 피하 기 위한 조치라는건 알테니 금리를 무조건 올릴려면 경제성장에 따른 인플레이션이 예상될때라는걸 알아야

겠지? 쉽게말해 통화정책으로 통제가능한 경제상황이라면(스태그플레이션 같은 좆같은 상황빼고) 경제가 성장해야 금리도 오르는거지... 근데 가장 낮은금리의

대표상품인 주담대가 10퍼 간다면.. 신용대출은 한 12~13퍼 간다는거고 예금금리도 한 8~9퍼는 간다는 건데...와.. 뭔가 인류에 엄청난 혁신이 와서 다시 세계 경

제가 존나게 성장해야만 가능한거야ㅡㅡ일단 거기서 주담대 10퍼라는게 다 개소린데ㅡㅡ 중요한건 주담대니까..


2. 맨날 공포를 조장하는 그 놈의 주택담보대출의 금리가 어찌 결정되는지 아.라.보.자. 응?


3. 주택담보대출은 그 금리를 결정하는 값에 기준금리가 변수로 직접 작용하진 않아. 과거에는 CD금리를 주담대의 기준으로 잡았다면 현재는 코픽스(COFIX)를 주담대의 기준금리로 잡는다잉.

즉 주택담보대출 금리의 구성은

주담대금리=코픽스+은행별 가산금리-우대금리

라고 보면 되는데. 그러면 이 코픽스라는 것은 무엇이냐?

사실 코픽스도 그 종류가 단기, 잔액 , 신규 세가지로 나뉘는데 그냥 뭉뚱그려 설명하자면

우리 나라 은행들이 모인 은행연합회에서 지방은행을 제외한 8대은행(우리, 신한, 국민, 농협, 하나, 기업, SC, 시티)에서 판매한 수신상품(그냥 쉽게 말해 은행에서 파는 예금이나 적금등)8가지에 대한 은행이 고객에게 지급하는 평균금리를 코픽스라고 하거덩. 즉 은행연합회는 8대 은행이 판매한 저 여러 상품들의 금리를 평균하여 매달 15일에 코픽스로 공시하게 되고 이것이 주택담보대출의 기준 금리가 된데이.

매우 거칠고도 쉽게 말하자면 우리가 은행에 돈맡기고 받는 예금금리의 평균이 코픽스이고 주담대 금리는.이것을.기준으로 결정되징

물론 금통위의 기준금리가 오르면 일반적으로 코픽스도 오르고 코픽스가 오르면 주담대 금리도 오르는데

그러나 시장에 떠도는 기준금리가 1퍼 오르면 주담대 금리는 4배 오른다더라... 이런건 팩트가 아냐..ㅜㅡㅜ

그냥 우리가 은행에 돈맡기고 받는 이자가 높아지면 주담대 금리도 연동해서 따라오른다고 보면 되는거여..

그니까 주담대 금리가 10퍼되려면 우리나라 예금금리도 한 8~9퍼 되야되는데 지금이 무슨 80년대 고도성장기도 아니고

예금금리 8~9퍼를 은행이 어케 줄건데?

시중은행이ㅜ무슨 사채업자도 아니고..예금금리 8퍼주려면 은행이 딴데 돈 빌려줘서 저 이상 이자를 받을수 있어야 되는데 뭔수로?

제발 생각좀 하자..

맨날 생각도 안하고 안찾아보고 안알아보니까

서울에 집한채 살 수 있었던 지난 10년의 기회도 다 놓치고 아직도 인디언 기우제 마냥 폭락기도만 드리는거야...ㅜㅡㅜ 난 진짜 너무 안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