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부터 2~3년간 지속될 악재
미국 금리인상이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
http://blondetwintail.tistory.com/465
미국에서 금리를 올리면 우리나라는 외화유출때문에 맞춰서 올려야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금리가 올라가고 시중에 유동성이 축소됩니다.
2.바젤3 체계
http://fkawnltjsej1.tistory.com/828
내용만 보시고요 결국 앞으로 은행에서는 미래리스크에 대한 대비때문에 충당금을 더 쌓아야 해서 대출이 축소됩니다.
올해 1월 1일부터 도입되었으니 앞으로 2~3년간의 조정기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이런 일환으로 DSR도 도입됩니다.
앞으로 기존 대출이 있는 분들은 신규대출이 깐깐해집니다.
3. 2018년 아파트 분양 물량이 44만채
http://cm.asiae.co.kr/view.htm?no=2018021109220080048
4.미입주 물량 증가로 인한 빈집의 증가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021316102383089
2월 전국 HSSI 전망치 '69.8'…분양경기 위축 전망
http://cm.asiae.co.kr/view.htm?no=2018021109220080048
5. 고령사회에 공식 진입하였고 앞으로 10년 안에 초고령화사회에 진입할 예정입니다.
65세 이상이 14%… '고령사회' 공식 진입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9/04/2017090400203.html
이전에는 부동산 가격이 오를때에는 생산가능인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시기였지만 현재는 생산가능인구가 해마다 20만씩 줄어드는 상황이라 점차 집을 살사람이 줄어들고 있는거죠
60대 이상의 고령층이 집을 사면 된다고 하시는 분도 있지만 DSR체계에서는 그분들은 앞으로 소득이 없다고 생각해서 대출이 매우 축소됩니다. 젊은 사람은 늘어납니다만 젊은 사람이 줄어들죠
6. 경기가 바닥입니다.
노무현대통령때는 금리가 올라도 그걸 받아줄 경기라도 좋았는데 요즘은 경기가 바닥이죠
외환위기 뛰어넘는 '사상 최악' 폐업이 기록됐다
http://www.huffingtonpost.kr/2018/01/05/story_n_18936020.html
DSR때문에 대출도 안나오는 상황에서 자영업자들이 점차 버티기는 힘든 상황이 오고 있습니다.
저도 컨설팅 업무도 하고 있어 지속적으로 보고 있는데 체감경기는 많이 안 좋은 편입니다. 비공식적인 자료지만 현재 600만 자영업자 중 200만정도는 정리될 것이라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7.가계대출 1400조
[금리인상] 1400조 가계부채 어쩌나… 당장 이자만 2.3조↑
http://www.hankookilbo.com/v/5fce447060a544c78ac3d3b01884004b
가계대출이 많은 상황이라 금리가 조금만 인상되어도 위험한 상황입니다.
8.보유세가 인상될 예정입니다.
강남 고가주택·다주택자 '보유세 폭탄'.. 최대 40% 이상 오른다
http://v.media.daum.net/v/20180124173805980?rcmd=rn
이런 상황에서도 오르면 진짜 대단한거죠
물론 오를 수 있죠 올라서 내 돈도 많이 벌고 하면 좋겠죠 하지만 집값으로 이자와 보유세 등을 반영하려면 해마다 4~5%씩은 올라야 합니다. (대출 갚으시려면 향 후 20년간)
그리고 보유세는 고령화사회가 진행되면서 점점 더 강화될 것이고요.
앞으로 임대인에 대한 권리 보호가 강화되면 집을 살 메리트가 없어지죠 독일처럼 한집에서 30년씩 임대하고 사는 형태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예금금리와 주책담보대출 관계 (0) | 2018.05.02 |
---|---|
하남 감일지구 포웰시티 (0) | 2018.05.01 |
SK이노베이션 배당금 (0) | 2018.04.27 |
SK텔레콤주식회사 배당금 (0) | 2018.04.27 |
삼성물산 배당금 (0) | 2018.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