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영화, 패션, 뷰티, 식물

[서평] 대한민국 독도 by 호사카 유지, 세종대 독도종합연구소

국제사회에서 정의는 존재할까요? 힘의 논리가 작용하고 이에 따라 국제사회가 움직이는것이 당연한것 아닐가요? 일본에서 국내 정세가 불안할때, 공공의 적이 필요할때, 건드려도 문제 없는 나라일때 일본에게 독도는 이런 항목에 맞는 사항이 아닐까요? 잊을만 하면 문제를 만들고, 극우적인 발언으로 지지자들에게 지지를 받는 모습을 보게됩니다.

국제사회에서 외교력과 근거있는 논리와 자료로 대한민국의 독도라는 이야기는 제가 어린시절부터 이야기를 들었던 너무나 당영한 이야기인데 항상 일본은 자기네 땅이라고 이야기하는 너무나 이상한 이야기로 생각되는 부분입니다.

정치, 외교, 경제적인 복합적인 문제가 섞여있다고 생각되는 독도 문제, 우리는 어떻게 접근하고 해결해야 할까요?

세종대 독도종합연구소의 호사카 유지 교수님이 쓰신 "대한민국 독도"에 대해 포스팅 하려고 합니다.

독도는 우리땅이라는 이야기는 많이 들었지만, 일본 사회의 논리를 하나하나 반박하면서 근거와 자료를 보여주는 책을 저는 이 책으로 처음 만나게 되었습니다.

막연하게 독도가 우리땅이라고 알고있었지, 어떤 이유로 일본이 자기네 땅이라고 주장하고 우리는 어떻게 대응하고 어떤 논리를 가지고 있는지 자료를 보게된것은 이 책으로 처음 접하게 되었습니다. 다양하도 방대한 자료를 하나하나 분석하고 배경지식을 제시하고 있는 책으로 보고 있으면 쉽게 읽을수 있는 책이 아닙니다. 하나의 논문을 읽어내려가는 혹은 깊이 있는 보고서를 읽는 듯한 느낌을 들게 됩니다.

책에서는 독도란 어떤땅이고, 어디서부터 기록이 있고, 어디에 기록이 남아있는것부터 시작합니다. 그리고 왜 일본이 언제부터 자기네 땅이라고 주장하게 되었는지 등등 현재의 모습까지 이야기하고 있는 독도를 위한 책입니다.

"러스크 서항은 치명적인 결함을 갖고 있다. 이 부분은 일본 정부와 일본 국민들의 '러스크 서한'에 대한 맹신을 완전히 무너뜨릴수 있을 만큼 강력한 이 책의 핵심 주장 가운데 하나다." page208

...중략...

환언하면 이 말은 샌트란시스코 조약의 결론은 '독도는 한국영토'라는데 있다. 샌프란시스코 조약에 대해 누구보다 잘 아는 델레스가 독도영유권의 본질, 즉 독도가 한국영토임을 비밀리에 기록해 놓았던 것이다. 연구자들이 흔히 '덜레스 전문'이라고 말하는 이 문서는 현재는 비밀이 해제되어 미국 구립공문서관(NARA)에서 열람할수 있다. page216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러스크 서한, 밴 플리트 대사의 귀국보고서 3가지가 일본의 근거로 제기하고 있는 핵심입니다. 일본의 주장에 따라 끌려다닐필요는 없지만, 아무말도 하지 않고 무시한다면 제 3자는 일본의 주장이 옳다고 생각할 소지가 있기 때문에 일본의 주장을 완벽하게 비판하고 극복하는 것은 필요한 사항으로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일본이 주장하는 부분과 이에대해 반박하는 논리는 생각보다 쉽게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사회적 변화와 다양한 사건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해서 취합해서 이해하기가 어려운것 같습니다.

어려운 주제에 대해 하나하나 이야기를 풀어가서 독도는 우리땅이라는 논리를 만들어 가고있는 이책 응원합니다.

 

* 이 리뷰는 서평단 모집 이벤트를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