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어드바이저 NH로보 글로벌ETF자문형

부자가 되고 싶어서 주식투자를 시직했다. 하지만, 어떤 종목을 선택해야 하는지, 언제 사고, 언제 팔아야 하는지에 대한 판단이 계속 안되고 있어서 손실을 보고 있습니다.

이때 눈이 들어온것이 로보 어드바이저 입니다.

1. 수익률이 높은 어드바이저가 있다면 투자회사에서 사용하고 일반대중에게 오픈할까?

2. 로보어드바이저는 일반대중들의 희망이 될수 있을까?

3. 수수료 혹은 자문료를 받기위해 또 다른 형태의 상품은 아닐까?

등등 의심의 의심이 가지만, 어떤것인지 알아보자라는 생각으로 일단, 검색 했습니다.

일단,

NH투자증권의 NH로보 글로벌ETF자문형 입니다.

1. www.ratestbed.kr > 심사결과 > 알고리즘 별 심사후운용정보 선택
2. 테스트 차수 > 1회차, 참여업체 > NH투자증권, 알고리즘 > QV 글로벌 자산배분

* 매매회전율
운용자금 대비 매매금액의 비율로, 매매발생의 빈번도와 포트폴리오 운용에 대한 적극성 등을 나타냅니다.
매매회전율 = (매매대금 * 100) / (운용자금 * 2) 

* 표준편차
수익률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값이 클수록 변동성이 심하므로 위험이 크고, 값이 작을수록 위험이 작다고 할 수 있습니다.

* 베타
시장 변화에 따른 수익률의 민감도를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베타가 1보다 크면 펀드 수익률이 시장보다 더 민감하게 움직이고 1보다 적으면 시장보다 덜 움직입니다.

* 샤프지수
위험 1단위에 대한 초과수익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써, 샤프지수가 높을수록 투자성과가 성공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 측정 기간과 투자 전략이 동일한 경우의 비교시에 의미가 있습니다.

* 자산별 투자비중
자산군 분류기준(주식/펀드/주식ETF/채권ETF/기타ETF/ETN/예금/기타)에 따른 구분으로 자산 배분상태 확인이 가능합니다. RP는 예금으로, 해외ETF는 기타ETF로 분류됩니다.

3개월, 6개월 수익률을 보면 일단 나보다 좋다는것을 알수있다. 하지만 알고리즘에 대한 설명을 보면.

모두 미국에 상장되오 있는 ETF 종류인것을 볼수 있다.

- 미국에 종속되어 있는 ETF로 생각된다.

- 이 기간동안 미국 증시는 얼마나 올랐는지에 대한 차이니 우상향을 그리고 있었다. 과연 어드바이저의 실력일까?

 

고민만 많아지는 금요일 저녁입니다. ㅠ.ㅠ

좋아요는 불로거의 작은 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