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거래소 2018년 중간배당 종목

◇올해 6월 배당락일은 언제?
배당 투자를 고려한다면 첫 번째로 알아야할 정보는 바로 배당락일(ex-dividend date)이다. 배당락이란 ‘배당을 받을 권리가 없어졌다’는 뜻으로, 배당을 받기 위해선 배당락일 전일까지 주식을 매입해야 한다. 올해 6월 배당락일은 28일로, 따라서 중간배당을 받기 위해선 27일까지 주식을 매입해야 한다.

배당락일에 주식을 매입하면 배당을 못 받는다. 만약 배당락일에 주식을 매도하면 배당을 못 받을까? 정답은 배당락일에 주식을 매도해도 배당을 받는다. 따라서 올해 6월 중간배당만을 얻을 목적이라면 27일까지 주식을 매입하고 배당락일인 28일에 주식을 매도해도 배당을 받을 수 있다.

중간배당을 노리는 투자자 가운데 6월 마지막 거래일까지 주식을 매입하기만 하면 배당을 받을 수 있다고 오해를 하고 있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다. 틀린 정보다. 배당락일을 넘기면 절대 안된다. 간혹 배당기준일을 궁금해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투자자에게 오로지 중요한 날짜는 배당락일이다. 배당기준일은 잊어버려라.

◇시가배당율은 무엇? 
시가배당율은 주당 배당금액을 주가로 나눈 것이다. 시가배당율이 높을수록 투자금액(주가) 대비 수익(배당금액)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투자매력도가 높은 종목이다.

◇배당락 주가는 떨어지나?
기업이 배당을 하면 이론상 배당금총액만큼 시가총액이 줄어든다. 주가도 이론상 주당 배당금액만큼 떨어진다. 따라서 배당락일 이론상 주가는 전일 종가에서 주당 배당금액만큼 차감한 가격으로 시작해야 한다. 

미국 증시에선 배당락일 시초가는 전일 종가에서 주당 배당금을 뺀 금액만큼 자동 조정된다. 배당락일에 주가가 자동 조정되면 순수하게 배당만을 노리고 단기 매매에 나서는 걸 막는 효과가 있다. 왜냐하면 배당락일에 주식을 매도하면 주당 배당금액과 동일한 금액만큼 주가가 떨어져 순수하게 얻는 이득이 없다. 즉 왼쪽 주머니에 있는 돈이 오른쪽 주머니로 옮겨가는 것일 뿐이다. 

그러나 국내 증시에선 주당 배당금액만큼 자동으로 배당락 주가를 조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배당락 주가가 배당금액만큼 떨어지지 않는다면 배당을 노리고 단기 차익을 노릴 여지가 있다.

◇중간(분기)배당금액 지급 시기는?
중간(분기)배당금액은 추후 이사회에서 결정되고, 실제 지급은 이사회 결의일로부터 20일 내에 지급된다. 대체로 8월에 중간(분기)배당금액이 지급된다. 그래서 중간배당을 ‘8월의 보너스’라 부르기도 한다.


http://naver.me/Gnqg9wb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