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식

혈압계의 원리

혈관을 압박했다 풀면 막혀있던 혈액이 갑자기 흐르면서 혈액이 흐르는 소리(혈관음)가 발생합니다. 처음 혈관음이 들였을 때 압력이 최고혈압이고 혈관음이 더 이상 들리지 않을 때의 압력이 최저혈압입니다. 혈압계로 이 소리를 측정하면 최고 최저혈압을 알수 있습니다.
혈관을 압박했다 풀면 막혀있던 혈액이 갑자기 흐르면서 혈액이 흐르는 소리(혈관음)가 발생합니다. 처음 혈관음이 들였을 때 압력이 최고혈압이고 혈관음이 더 이상 들리지 않을 때의 압력이 최저혈압입니다. 혈압계로 이 소리를 측정하면 최고 최저혈압을 알수 있습니다.

혈압이란 무엇일까요?
혈액은 심장이라고 하는 펌프의 박동에 의하여 동맥으로 보내져요. 혈액을 동맥으로 내보낼때의 압력을 최고혈압 몸 전체를 순환하고 돌아와서 심장이 확장할 때의 압력을 최저혈압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안정 상태에서 측정한 혈압은 120/80mmHg 미만이 정상 혈압입니다.
혈압이 높을수로 심장과 혈관에 합병증이 많이 발생합니다.
가능하면 정상 혈압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협압의 측정값이 잴 때마다 다르다?
혈압은 심박출량과 혈관저항에 비례하기 때문에 여러 환경에 영향을 받아요. 긴장이나 초조 불안 등의 정신활동도 영향을 주며, 측정시 말을 해도 약간 올라갑니다.
측정시 다리를 꼬거나 측정 전 1시간 이내의 커피나 흡연도 협압을 상승시킵니다.
혈압은 항상 변화하기 때문에 기복적으로 반복적인 측정이 중요합니다.

최고 혈압과 최저 혈압은 무슨 뜻일까요?
최고 혈압이란 수축기 혈압을 말하며, 최저 혈압이란 확장기 혈압(또는 이완기)를 말합니다.

혈압은 하루 중 어떻게 변화하나요?
혈압은 하루 중 아침에 깨어나면서 올라갑니다. 할동 중인 낮에는 비교적 높고 잠자는 중에는 10%이상 낮아집니다.
24시간 혈압을 측정해서 야간 혈압이 낮보다 10%이상 감소하지 않으면 더욱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야간혈압이 낮보다 10%이상 감소하지 않는 사람을 Non-dipper라고 합니다.

고혈압과 저혈압이란 무엇일까요?
고혈압은 혈압이 안정시 수축기 혈압이 140mmHg이상이거나 확장기 혈압이 90mmHg이상인 경우를 말하며, 저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90mmHg이하 확장기 혈압이 60mmHg이하인 경우를 말합니다.

고혈압의 증상과 합병증을 알려주세요
대부분의 고협압 환자는 특별한 증상이 없어요. 그러나 갑자기 혈압이 180/110mmHg이상 상승한 상황에서는 두통이 동반 되기도 하며 가끔 코피나 호흡곤란, 어지럼증 혹은 눈에서 출혈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고혈압으로 인한 합병증 :
심장: 좌심실비후, 협심증, 심근경색증, 심부전
뇌: 뇌졸중(뇌경색, 뇌출혈)
눈: 망막병, 만성 신장질환, 말초 동맥질환

저혈압의 증상을 알려주세요.
저혈압의 증상은 어지럼증이나 피로감으로 느낄수 있어요. 심ㅅ한 저혈압이 생기면 손발이 차가워지고 식은 땀이 나며 때로는 구역질과 시력이 흐려지기도 합니다. 갑자기 혈압이 떨어지면 쓰러질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저혈압은 특별한 증상이 없습니다.

고혈압과 저혈압은 얼마나 위험할까요?
고혈압은 처음엔 특별한 증상이 없다가 서서히 심장, 뇌, 신장 등 사람의 주요 장기를 침범하여 치명적인 합병증을 유발합니다. 저혈압은 원인 질환이 없으면 치료를 하지 않습니다.
에외적으로 심한 출혈이나 탈수, 감염에 따른 패혈성 쇼크로 저혈압이 발생한 경우는 병원에서 반드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고혈합은 침묵의 살인자로 불리는 질환입니다.

고혈압이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1. 스트레스: 스트레스는 교감신경을 활성화시켜 혈압을 올릴수 있습니다.
2. 비만: 비만환자의 2/3는 고혈압이 발생하며 이는 혈액량 증가와 혈관속 저항의 상승 때문입니다.
3. 수면부족: 수면이 부족하면 고혈압이 되거나 기존 고혈압 환자의 혈압을 더욱 올리수 있습니다.
4. 술과 담배: 흡연과 과도한 음주는 고혈압을 발생시킵니다.
5. 가족력: 쌍둥이와 직계 가족은 유전적으로 30~60%의 고혈압발생 확률이 있습니다.

기립성 저혈압을 알고 싶어요.
누워있다가 일어날때 저혈압이 오기도 합니다. 이것을 기립성 저혈압이라고 합니다. 당뇨병이나 파킨슨병, 기타 자율신경장애가 있는 경우 발생할수 있으며, 장기간 침대에 누워있는 환자, 탈수 상태, 임신, 노인에게서 가끔 생깁니다.

혈압 측정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것들

 1 

 식사

 6

 운동

 2

 술,커피,홍차

 7

 배뇨,배변

 3

 감기약

 8

 
실내 온도 변화

 4

 흡연

 9

 긴장이나 불안한 마음

 5

 목욕

 10

 측정 중 대화

병원에서 측정한 혈압과 다른데요?
병원에서는 주로 수은혈압계를 사용하는데 이는 청진기가 필요하고 환자의 혈압을 측정하는 전문가(의사 또는 간호사)가 있기 때문에 가정혈압 측정시 사용하는 진동식 전자 혈압계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정확한 혈압 측정을 위해서는 병원을 방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핸드폰 개통후 7일에서 14일이내에 환불해야할때  (0) 2018.04.07
신비로운 블랙홀  (0) 2018.04.01
토마토 Tomato  (0) 2018.03.16
신기한 기계적 동작원리  (0) 2018.03.16
혈액의 구성 그리고 혈액형  (0) 2018.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