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식

혈액의 구성 그리고 혈액형

과천과학관에 혈액코너에서 설명하고 있는 정보입니다. 

혈액형의 수혈관계를 알아볼까요?
원칙적으로 자신과 같은 혈액형을 수혈 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O형은 적혈구의 응집원이 없으므로 혈액에 상관없이 수혈할수 있습니다. 반대로 AB형은 A형과 B형의 응집원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AB형을 제외한 다른 혈액에는 수혈할수 없습니다.

ABO혈액형은 언제부터 누구에 의해 사용되기 시작했나요?
혈액형을 구분하는 방법인 ABO혈액형은 1900년 오스크리아의 카를 란트슈타이너(Karl Landsteiner)박사가 발견했습니다.
동물의 혈액을 사람에게 수혈하였을 대 적혈구가 엉키고 용혈된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혈액은 서로 다른 세가지로 구분된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연구 끝에 A형,B형,C형으로 이름 붙이고 그 공로를 인정받아 1930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게 되었습니다. 네번째 혈액형인 AB형은 그의 제자들에 의해 1902년 발견되었습니다.
1940년에는 레빈 등과 함께 Rh혈액형 발견에도 많은 기여를 하였습니다.

Rh 혈액형은 무엇일까요
Rh 혈액형이란, 같은 혈액형끼리도 가끔 응집 반응을 일으키는데 이를 연구한 결과 믿어낸 새로운 혈액 구분법으로 Rh항원이 있으며 Rh+ 없으면 Rh-로 구분합니다.
Rh라는 명칭은 혈청을 얻기위해 사용한 붉은 털 원숭이(Rhesus monkey)에서 유래했으며 Rh+가 Rh-에 비해 우성이기 때문에 Rh-의 혈액형이 더 작게 나타납니다. 

혈액의 구성
우리 몸무게의 약8% 정도를 차지하는 혈액은 55%의 혈장과 45%의 혈액세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혈액세포의 대부분은 적혈구이고 백혈구와 혈소판이 차지하는 비중은 1% 미만입니다.

혈장 : 혈액셀포와 영양소, 호르몬, 항체 및 노폐물을 운방하고 삼투압과 체온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적혈구 : 조직에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내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백혈구 :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병원체를 공격합니다.
혈소판 : 혈액 응고를 위해 피브린을 생성합니다.

원심분리기는 축을 중심으로 물질을 회전시켜서 원심력을 가하는 장치입니다.
모터를 주로 이요하며 혼합물을 밀도에 따라 분리해내는 도구입니다.
원심분리기로 혈액을 분리하면 어떻게 될까요?

전혈 : 대량출혈 수술시 사용
농축적혈구 : 적혈구 부족, 철결핍, 각종빈혈, 일산화탄소 중독등에 사용
농축혈소판 : 혈소판 감소, 기능 이상, 급성백혈병, 재생불량성빈혈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