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여행

괌 여행정보 guam island traval information

괌 여행을 알아보고 있는데, 괌이라는 지역이 매우 특이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지역으로 알게되었습니다. 군사적인 지리적 위치와, 미국령이라는 특색, 그리고 태평양에 위치한 섬. 따뜻하고 온화한 날씨등 여행하기 매우 매력적인 지역인것은 사실입니다. 괌 지역이 어떤곳인지 포스팅을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괌·사이판 대양주
시차 한국보다 1시간 빠름 화폐단위 동카리브달러(East Caribbean Dollar)/100cents

총영사관 홈페이지 http://usa-hagatna.mofat.go.kr

괌정부 홈페이지 www.guam.gov

북마리아나정부 홈페이지 www.cnmi.net

현지 치안 상황

전쟁, 내란, 테러 등에 대한 상황 및 정세
● 괌과 북마리아나연방(사이판)은 전쟁, 내란, 테러 가능성은 거의 없는 지역이다.
다만, 지진과 태풍이 비교적 잦은 지역이므로 유의사항과 대처요령을 반드시 알아두어야 한다.

살인, 강도, 납치 등 범죄 피해 가능성 등 치안 상태
● 괌 및 북마리아나연방은 관광(휴양)지로서, 연간 한국인 관광객 수가 괌의 경우 약 12만여 명(전체 관광객의 10%)이며, 북마리아나연방(사이판)은 약 11만 명(전체 관광객의 20%)이 다녀갈 정도로 잘 알려진 곳이다.
● 살인, 강도, 납치 등의 중범죄는 거의 없는 편이나 렌터카 등 차내에 가방이나 귀중품이 보이는 경우 차량 유리를 깨고 꺼내가는 좀도둑이 기성을 부리므로 각별히 주의한다.
● 야간에는 주차해 둔 차량의 바퀴를 떼어 가는 사례도 있으므로 차량은 안전한 장소에 주차하는 것이 좋다.
● 특히 야간에 해변에서 여성이 납치, 강간 등을 당하는 사례도 간혹 발생하므로 각별히 주의한다.

주요 사건·사고 사례
● 2007년 3월 23일(금) 오후 1시 30분경 한인 학생 17명이 북마리아나연방(사이판) 소재 금단의 섬인 포비든 아일랜드(Forbidden Island Sanctuary)에 놀러 갔다가 4명이 파도에 휩쓸려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런 사례 이렇게 대처 [사례] 인터넷으로 밀반입 물건 배송해 달라는 부탁
● 한국 관광객이 2005년 10월 9일 OO항공편으로 마약 Crystal Methamphetamine(속칭 ICE) 2,078g을 스피커 박스 속에 넣어 괌 세관을 통과하려다 세관원에 적발되 었다. 한국에서 인터넷을 통해 스피커 박스를 괌에 거주하는 OO씨에게 전달하면 $4,500를 주겠다는 제안을 받고 심부름만 했으며, 스피커 내부에 ICE가 들어 있는 줄은 몰랐다고 주장했다.

[대책]
● 사이버 공간이나 공항 주변에서 사례를 약속하면서 내용이 확인되지 않은 물건을 타인에게 전달해 달라는 요청을 받는 경우 반드시 거절해야 한다.
● 항공사는 원칙적으로 승객의 화물에 대해 사전 확인 및 사인을 받아 두도록 되어 있으며, 설사 승객의 사인이 없다 하더라도 화물 탁송표와 승객 간의 연계가 시스템으로 확인되기 때문에 자신의 소유물이 아니라고 부인해도 법의 구제를 받지 못하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주의해야 할 곳
● 여성의 경우 가로등이 없는 한적한 곳(특히 해변)에 일몰 후 혼자 외출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 통제구역(수영금지구역, 입·출입 통제구역 등) 출입은 삼가는 것이 좋으며, 각종 안전 안내 표지판의 내용을 숙지하고 잘 따른다.

대중교통과 도로교통

대중교통
● 주로 택시와 버스(호텔-쇼핑몰 간 셔틀)가 대중교통 역할을 담당한다.
- 택시의 경우 미터요금의 10%를 별도로 서비스 요금으로 지불한다.
- 버스는 별도의 서비스 요금을 낼 필요 없다.
● 택시와 버스 수가 적으므로 가능한 한 렌터카를 이용하는 게 편리하다.

도로교통
● 아스팔트 도로에 코랄(산호석) 성분이 섞여 있어 비가 오면 빙판길처럼 미끄러워져 매우 위험하다.
● 마린 드라이브(Marine Drive)의 중앙 분리선(1개 차선으로 노란색 점선 표시)은 좌회전할 때 쌍방향 차량이 공동으로 이용하는 교통섬과 같은 역할을 하며 이 지역에 진입하면 일단 정차 후 좌회전해야 한다.
● 스쿨버스(노란색)가 학생들의 승하차를 위해 정차하고 있는 동안에 바로 뒷차는 물론 뒤따르던 옆 주행로의 차들도 모두 일단 정지했다가, 스쿨버스가 출발하면 그때 함께 움직여야 한다.
● 괌과 북마리아나연방에서는 국제면허증 없이 한국운전면허증만 있으면 1개월간 운전할 수 있다.

 

기후와 자연재해

기후
● 아열대성 기후, 연중 기온은 24~27℃(주간에는 연중 30℃ 이상), 연평균 습도는 80% 정도이다.
● 의상은 하복이면 무난하나, 강한 직사광선으로부터 보호를 위해 긴 상하의 면류 의복도 필요하다.

지진이 발생했을 때의 유의사항
● 불을 켤 때 성냥이나 라이터를 바로 사용하지 말고 가스 냄새를 확인한 후 켠다. 또한 메인가스 밸브, 전기 시스템, 보일러 시스템 등을 꺼 둔다.
● 거의 모든 고층 건물은 내진 시공이 되어 있으므로 바깥보다는 실내가 더 안전하다.
● 모든 다리는 당국의 안전진단이 완료될 때까지 폐쇄됨에 유의한다.
● 송전선, 전봇대, 나무 벽체, 담, 굴뚝 등에서 떨어진 개방된 장소로 이동한다.
● 자동차는 도로의 가장자리에 세우고 교량, 인도교, 입체교차로 또는 송전선 아래 에는 주차하지 않는다. 만약 전깃줄이 자동차 위에 떨어진 채로 닿아 있으면 차내에 가만히 있는 편이 안전하다.

태풍이 발생했을 때의 유의사항
● 괌 및 북마리아나연방(사이판)에서의 태풍은 주로 8월에서 이듬해 2월 사이에 발생하나, 최근 기후 변화로 그 발생 시기를 예측하기가 어렵다.
● 날아다닐 가능성이 있는 시설이나 물건들을 고정시키고 건물 내부 등 안전한 장소로 옮긴다.
● 태풍셔터를 펼쳐 모든 창문을 덮는다.
● 단수에 대비하여 수돗물을 가급적 많이 받아둔다. 특히 괌과 사이판에는 담수가 거의 없으므로 단수가 장기화되는 경우에도 대비(대형 수조 준비)한다.
● 고층 건물은 태풍 강도가 더 세므로 건물 저층 또는 로비로 대피한다.

현지 관습 및치안법령

● 괌 및 북마리아나연방의 주 종교는 가톨릭이 전체 국민의 90%를 차지한다.
● 괌 인구는 약 17만 명(2007년 기준)으로 그중 현지인(차모로인)이 약 43%, 한국인이 약 2.6%(4,600명) 정도 차지한다.
● 북마리아나연방 인구는 약 83,000명(2007년 기준)으로 한국인은 약 2,500명 정도이다.

긴급 영사 연락망

공관(주하갓냐출장소) 주소 및 연락처
● 주소 : 125C Tun Jose Camacho St., Tamuning, Guam 96931 U.S.A.
● 전화 : (1-671) 647-6488 / 6489
● 팩스 : (1-671) 649-1336

● E-mail : kconsul@kuentos.guam.net
● 홈페이지 : http://usa-hagatna.mofat.go.kr

근무 시간
● 월~금 / 09:00~17:00(점심시간 12:00~13:30)
● 근무시간 외 긴급 전화 연결 : (1-671) 688-5886 / 5810 / 5815

북마리아나연방(CNMI : 사이판) 영사협력원 연락처
● 성명 : 주호준(한인회 총무이사 겸)
● 전화 : (1-670) 285-4620, 사이판 한인회 : (1-670) 234-0465 ※ 괌은 영사관 소재 지역으로서 직원의 직접 응대가 가능하나, 북마리아나연방은 항공기로 1시 간의 원격지에 위치하므로 긴급 도움이 필요한 경우 영사협력원에게 직접 연락하면 된다.

출입국 시유의 사항

● 괌은 미국령으로 미연방정부 국토안보부에서 출입국 관리 업무를 관장한다.
● 괌은 순수 관광이 목적인 한국인 방문자에 대해 15일 내 입국사증을 면제해 준다 (1990. 10. 1, Visa Waiver Program). 그러나 입국할 때 반드시 귀국 항공권(15일 이내에 출국)을 제시하고 괌 내 체류 장소를 밝혀야 한다.
● 관광 이외의 목적(유학, 취업 등)으로 입국할 때는 반드시 미국 비자를 취득해야 한다.
주한미국대사관(U.S. Embassy in Korea) - 홈페이지 : http://korean.seoul.usembassy.gov - 전화 : (02) 397-4114
- 팩스 : (02) 795-3606
● 북마리아나연방은 자치연방으로서 이민 업무를 직접 관장하며, 공항 또는 항만 에서 관광 목적으로 입국하는 한국인에게 30일 체류 기간의 입국 허가 스탬프를 여권에 날인해 준다.
● 괌 및 북마리아나연방에서 마약, 총포 등 불법 무기류는 미연방정부에서 관장하며, 미화 $10,000 이상을 휴대하고 여행하는 경우 세관에 신고해야 한다.

의료체계 및 응급처리

● 괌 긴급 의료 지원 - 괌 메모리얼병원(종합병원) : (1-671) 646-5801~5 - SDA Clinic : (1-671) 646-8801 - 미 해군병원 : (1-671) 340-9352

● 북마리아나연방(사이판) 긴급 의료 지원 - Commonwealth Heath Center : (1-670) 234-8950~1

● 약품 구입 시 처방전이 반드시 필요하며 한국 의사의 처방전은 참고는 가능하 지만 현지에서 통용되지는 않으므로 특이 병세와 체질인 경우 사전에 약을 준비해야 한다.

 

기타 참고사항

긴급 상황 시 연락처
● 긴급 구조 요청 : 911
● 괌

- 미국 국토안보부(이민국) : (1-671) 472-7349, (1-671) 642-7611(공항)

- 경찰 : (1-671) 475-8505~10
- 소방서 : (1-671) 472-3304/6

● 북마리아나연방(사이판)

- 이민국 : (1-670) 234-8950/1
- 경찰서 : (1-670) 2134-0911
- 소방서 : (1-670) 664-9003/4

차량 수리
● 렌터카를 빌린 경우라면 렌터 회사에 연락하면 처리된다.
● 경미한 수리는 일반 주유소에서 부품 구입과 교체가 가능하다.

팁 제도
● 일반적으로 요금의 10%를 팁으로 지급한다. 대개 호텔 식당에는 서비스료(service charge)가 계산서에 포함되어 청구된다.

한국과의 시차

● 한국 대비 +1시간

전력 사용 현황
● 현지 전기 시스템(모든 가전제품)은 110V / 55Hz이다.
● 한국 가전제품의 경우 프리볼트(110~220V 겸용) 제품이지만 승압기(트랜스포 머)를 사용해야 한다.
● 여행 시 플러그 어댑터(11자형 코드)를 준비하면 편리하다.

괌·사이판에 대한 사전 정보 취득
● 괌 정부 웹사이트 : http://www.guam.gov
● 북마리아나연방 웹사이트 : http://www.cnmi.net

언어
● 영어 및 차모로어(현지 원주민 사용, 스페인어와 유사함)

 

source - 괌정부관광청 www.welcometoguam.co.kr

관련자료로 괌 정부관광청에서 제공하는 괌 가이드북 그리고 괌 지도를 첨부로 첨부합니다.

guam-guidebook1.pdf

K-map 괌 지도.pdf